연구노트연구윤리

연구노트란?

과정과 결과

연구자가 연구의 수행시작에서부터 연구성과물의 보고 및 발표 또는 지식재산화에 이르기까지의 과정과 결과를 기록한 자료

※ 출처: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노트 관리지침(교육과학기술부훈령 128호)

연구노트의 필요성

연구윤리 측면

해외 주요 학술지의 논문 게재 시 연구노트 제출 요구에 대응 가능

연구의 진실성 입증을 위한 증거자료이자 연구결과에 대한 검증을 가능토록 함

기록관리 측면

연구노하우 전수와 연구지속성 유지

※ 연구의 진실성과 윤리준수를 위해 연구노트 작성기준에 맞추어 기록할 필요가 있음
지식재산권 보호측면

선사용권을 인정하는 우리나라(특허법 제 103조) -> 부정경쟁방지와 영업비밀 보호법으로 연구노트에 기록된 영업비밀을 보호

연구성과나 지분의 책정을 위한 중요한 증거기록이 됨

연구노트의 활용

연구계획, 과정 및 성과의 기록

아이디어 및 노하우, 실험데이터, 연구계획 등 수록 가능

논문 및 특허출원자료 작성등의 기초자료가 됨

연구노트를 통한 프로젝트 관리 가능(과제책임자)

과제참여자간의 연구결과 공유 및 토론의 수단이 됨

연구노하우 전수와 연구지속성 유지

후발연구자의 후속연구 진행을 위한 교재로 활용됨

숙련기술의 전수 및 연구자간의 지식 전수의 역할

독자적 연구활동의 증거

연구의 독자성 증명 수단이 됨

연구의 노하우 전수로 인하여 ‘독자성을 가진 연구실’이 됨

연구노트의 요건

기본 요건

기관명,일련번호, 연구과제명 및 각장에 쪽 번호가 적힌 제본된 형태

매 장마다 페이지 번호가 연속으로 기재되어야 함

작성날짜, 일련번호, 기록자 및 점검자의 서명공간 등이 확보되어야 함

전자연구노트인 경우에도 보안관련 기능이 탑재되어 있어야 함

연구노트의 작성방법

작성방법

기록내용이 장기간 보존되는 필기구로 작성

작성내용을 수정·삭제 및 연구노트에 자료를 부착하는 경우, 이에 대한 서명과 날짜를 기재

빈 공간에는 사선을 긋고, 여백임을 표시

연구노트의 작성예시

작성예시

연구노트의 보관 및 관리

연구원

연구노트 작성법에 맞추어 제 3자가 연구내용을 이해하고 재현 가능하도록 작성

연구종료나 퇴직 시 연구책임자에게 연구노트 반납

연구책임자

연구노트에 대한 교육과 보관의 2차 책임

연구수행 과정의 진실성 검증과 관리를 위해 작성된 연구노트의 점검

연구과제의 중단이나 종료에 따라 연구노트와 관련된 자료 등을 관리부서에 제출

연구기관

연구노트 관리 지침에 따른 체계적인 자체규정 제정과 시행

연구노트 형식 요건에 맞는 연구노트의 제작 및 배포

제출된 서면 연구노트 원본의 보관(연구노트 보존공간 확보)

보관

완료된 서면연구노트는 관리부서로 반납

허가된 사람 이외의 출입을 통제

보안관리

작성중인 연구노트 : 기록자가 보관

완료된 연구노트 : 기록처에서 관리부서에 반납을 해야 함

연구기관 외부로 반출시 기관내 관련 위원회 심의 후 반출

※ 관련정보: R&D특허센터 연구노트확산지원본부 (http://www.e-note.or.kr/)
문의
TEL 02-970-5804
FAX 02-970-5910